청년도약계좌는 지난 7월에 이어 8월에도 가입 신청을 받을 예정이니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매달 최대 70만 원(최대 월 40만 원 정부 지원)씩 연리 3.5%로 저축함으로써 10년 후 1억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"1억 만들기 통장"이며 소득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늘어나도록 설계된 정책금융상품입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요건
가입대상은 20세부터 35세 청년 중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입니다. 다만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에서 소득금액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가입할 수 없습니다. 또한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가입 가능합니다. 가입 기간은 2023년 6월 15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 약 2년 반이며, 2023년 6월부터 시작되는 가입기간 기준, 직전 과세기간은 2022년 1~12월입니다. 또한 1년을 주기로 현행화하여 지급여부와 규모가 조정됩니다.
구분 | 2022년기준 중위소득 | 180%(월) | 180%(연) |
1인 가구 | 1,944,812 | 3,500,661 | 42,007,932 |
2인 가구 | 3,260,085 | 5,868,153 | 70,417,836 |
3인 가구 | 4,194,701 | 7,550,461 | 90,605,532 |
4인 가구 | 5,121,080 | 9,217,944 | 110,615,328 |
5인 가구 | 6,024,515 | 10,844,127 | 130,129,524 |
※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중위소득 (단위: 원/월)
청년도약계좌 개설기간 및 신청기간
- 7월 가입자: 계좌 개설기간 2023년 8월 7일 ~ 8월 18일 계좌 개설가능
- 8월 신청기간: 2023년 8월 1일 ~ 8월 11일
- 가입가능여부: 2022년 기준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으로 확인
※ 가입 대상으로 확인되면 계좌개설 가능합니다
청년도약계좌 혜택
가입자의 소득과 가입하는 은행의 우대금리 여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거나 기본적으로 시중은행 가입으로 기본금리 4.5%이고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고 월 70만 원씩 납부하면 출시 당시 기본금리가 만기 시까지 유지된다고 가장한다면 예상되는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. ※만원 단위 이하는 절삭합니다.
총급여기준 | 납입액 | 정부기여금 | 납입금액이자 | 기여금이자 | 총 수령액 | 혜택 금액 | 일반적금비교 |
2,400만원이하 | 4,200만원 | 144만원 | 640만원 | 16만원 | 5,000만원 | 800만원 | 8.86% |
3,600만원이하 | 138만원 | 587만원 | 15만원 | 4,938만원 | 738만원 | 8.19% | |
4,800만원이하 | 132만원 | 14만원 | 4,931만원 | 731만원 | 8.12% | ||
6,000만원이하 | 126만원 | 13만원 | 4,924만원 | 724만원 | 8.05% | ||
7,500만원이하 | - | - | 4,787만원 | 587만원 | 6.5% |
전체적으로 보면 2,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장 큰 혜택을 보지만 2,400만 원 이상 6,000만 원 이하 청년들도 충분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. 다만, 소득 구간이 낮을수록 월 기여금을 최대한으로 받기 위해 납입해야 할 금액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금 유지에 대한 부담감이 적은 편입니다. 다만 7,500만 원 이하 구간은 기여금이 없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만 겨우 받아 시중은행에서 6.5% 적금에 가입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 현제 적금 금리가 꽤 많이 올랐다고는 하지만 많은 시장에 적금상품들이 우대금리 세부사항이 까다롭고 충족시키기 어려운 만큼, 단순 적금 상품을 대체할 용도로 봐서는 이만한 상품은 없다고 봅니다. 가입기간이 너무 길어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.
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 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더라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,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의 효과를 보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.
총 급여기준 | 월납입액 | 총납입액 | 총정부기여금 | 납입금액이자 | 총수령액 | 혜택금액 | 일반적금비교 |
2,400만원이하 | 40만원 | 2,400만원 | 144만원 | 366만원 | 2,925만원 | 525만원 | 10.19% |
3,600만원이하 | 50만원 | 3,000만원 | 138만원 | 419만원 | 3,572만원 | 572만원 | 8.87% |
4,800만원이하 | 60만원 | 3,600만원 | 132만원 | 503만원 | 4,249만원 | 649만원 | 8.39% |
납부 가능 금액이 여유롭게 월 70만원을 납입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거나 다른 상품 및 생활비를 써야 할 경우 혹은 최소 금액으로 최대 효율을 원하는 경우에는 위의 월 납입액에 맞추어 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므로 세제 혜택이 없는 일반적금으로 비교할 경우 최대 10.19% 적금상품에 가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니 반드시 혜택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청년도약계좌 금리정보
금리정보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바로 확인가능하니 꼭 확인해 보시고 신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.
청년도약계좌 은행 콜센터 확인
은행 | 연락처 | 은행 | 연락처 |
국민은행 | 1588 - 9999 | 부산은행 | 1588 - 6200 |
신한은행 | 1577 - 8000 | 대구은행 | 1566 - 5050 |
하나은행 | 1588 - 1111 | 광주은행 | 1588 - 3388 |
우리은행 | 1588 - 5000 | 전북은행 | 1588 - 4477 |
농협은행 | 1661 - 3000 | 경남은행 | 1600 - 8585 |
기업은행 | 1588 - 2588 | SC제일은행 | 1588 - 1599 |
※ SC제일은행은 2024년 1분기부터 가입 신청 가능
2023년 청년도약계좌 8월 신청기간 반드시 확인하시고 혹시 이번달에 가입이 어렵다면 다음 달에도 가입 신청받을 수 있으니 너무 걱정 마시고 청년들의 목돈 마련의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.
'꿀팁저장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목돈마련 총정리 (0) | 2023.08.03 |
---|---|
미래를 선두하는 서울시 청년취업사관학교 SeSAC (0) | 2023.08.02 |
트라이 에브리싱 글로벌 스타트업 700억 투자유치 예상 9월 개최 (0) | 2023.08.01 |
가족돌봄청년 신청 전국 최초 전담기구 운영 (0) | 2023.07.31 |
노후긴급자금 대부지원사업(실버론) 혜택 신청방법 (0) | 2023.07.25 |